본문 바로가기

부동산개발14

하자보수보증금 수수료 및 예치 하자보수보증금이란○ 하자보수보증금의 개념 - 하자보수를 보장하기 위해 담보책임기간 동안 예치 또는 지급을 보장하는 보증에 가입하는 금액을 말합니다.[관련 규정 「공동주택관리법」제38조(하자보수보증금의 예치 및 사용)] ○ 하자보수보증금의 용도 - 관리주체가 직접 보수하거나 제3자에게 보수하게 하는데 사용되는 경우로서 하자여부판정서에 따라 하자로 판정된 시설공사 등에 대한 하자보수비용이나 하자심사에 따른 하자보수비용, 법원 재판, 하자진단 결과에 따른 하자보수비용이 발생하였을 경우 하자보수보증금을 통해 하자보수를 진행하게 됩니다. 하자보수보증기관 및 수수료, 예치금 등○ 공동주택관리법」제41조(하자보수보증금의 예치 및 보관) - 사업주체는 하자보수보증금을 은행에 현금으로 예치하거나 다음 각 호 어느 하.. 2025. 4. 20.
신탁 공매와 일반 공매 절차 및 차이 (feat. 공매대행통지서) 최근 부동산 경기악화로 경공매 물건 중 괜찮은 물건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요. 이에 따라 신탁사에서 진행하는 공매와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서 진행하는 공매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예시로 회사의 경영이 어려워져 담보대출을 받아 소유권을 취득한 부동산물건의 대출이자를 지급하지 못하거나 만기일에 원금상환을 못했을 경우 기한이익상실 등의 이유로 공경매를 진행하게 되는데요.  그리고 국세나 지방세를 체납하였을 경우에는 한국자산관리공사에서 해당 지자체의 신청으로 일반공매를 진행하게 됩니다. 최근 공경매 나오는 것들을 보면 가격이 괜찮은 물건들은 감정가 대비 50% 이상 최저입찰가격으로 나오기도 하니 관심을 가져볼 만할 것 같습니다.   일반 공매국가나 공공기관이 세금 체납 등의 이유로 압류한 재산을 매각하는.. 2024. 10. 1.
아파트 공사기간연장 및 입주지연에 따른 분양계약해제 안녕하세요 프리하마입니다. 이번 내용은 아파트 분양 이후 공사지연 및 사업주체의 귀책사유로 인해서 입주지연이 발생할 경우 계약해제가 가능한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최근 부동산 경기가 어려워지고 공사비가 사업수주 당시보다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면서 시공사의 공사진행 난이도가 매우 높아져 공사비 자금조달 문제나 하도급업체 공사비 지급 등의 이슈로 공사지연 및 사업주체의 부도 등에 따라 사업중단이 되었을 경우 계약을 한 수분양자들의 계약해제할 수 있을지, 그리고 계약금은 돌려받을 수 있는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1. 입주지연 발생사유 및 문제점2. 입주지연에 따른 계약해제3. 입주지연 기산점  입주지연 발생사유 및 문제점 입주지연은 보통 공사기간의 연장으로인해 발생하게 되는데, 제가 생각하는 공사기간의.. 2024. 7. 17.
중도금대출 선납할인 혜택 및 보증사고시 주의사항, 계산방법 신축아파트를 분양받는 경우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 선분양을 실시하게 되는데요. 이에따라 분양금 납부이후 입주까지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게 됩니다. 그리고 분양금 또한 사업 스케줄 즉, 공사기간에 따라 납부기일을 정해 분할하여 납부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물론 현금부자인 분들은 예외지만요ㅎ. 그리고 사업자 입장에서도 먼저 돈을 받는것이 더 유리하겠죠? 왜냐면 대출을 받아서 공사비를 충당하는 것보다는 분양수입금을 통해 이자를 절약하여 공사비를 진행하게되면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하게 될테니까요. 이에 따라 대부분의 공급계약서상에는 선납할인에 대한 내용이 들어있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중도금대출 선납할인을 공부해보고자 합니다.목차- 중도금 선납할인이란- 중도금 선납할인 혜택- 중도금 선납할인 주의사항- 중도금 선납.. 2024. 6.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