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테일러 준칙은 1992년 저명한 경제학자 존 테일러가 고안한 금리 예측 모델로, 1993년 "재량 대 정책 규칙의 실제 적용(Discretion Versus Policy Rules in Practice)"이라는 논문에서 설명했습니다. 이 모델은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과 기타 경제 상황을 고려하여 금리를 어떻게 변경해야 하는지를 제시합니다. 테일러 준칙은 인플레이션이 목표치를 초과하거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너무 높고 잠재성장률보다 높을 때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고 제안합니다. 또한 인플레이션이 목표 수준보다 낮거나 GDP 성장률이 너무 느리고 잠재성장률보다 낮을 때 연준이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테일러는 1990년대초 거시경제학의 합리적 기대 이론에 따라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미래의 금리를 결정한다는 신뢰할 수 있는 가정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이 이론은 기업, 근로자, 소비자가 경제의 미래에 대하여 긍정적인 기대를 가지고 있다면 금리를 조정할 필요가 없다고 가정하는 후향적 모델입니다.
테일러는 이 모델의 문제점으로 미래지향적일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경제 전망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테일러 준칙이 등장했습니다. 테일러 준칙은 처음부터 금리, 인플레이션, 생산량 수준을 측정하고 통화 공급의 적정 수준을 가늠하는 지표로도 사용되었습니다.
(테일러 준칙 공식)
테일러 준칙의 곱은 이자율, 물가상승률, GDP 성장률의 세 가지 숫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모두 통화 당국의 금리 예측에 대한 적절한 균형을 측정하기 위해 균형 금리를 기반으로 합니다. 이 공식에 따르면 명목 금리와 실질 금리의 차이가 인플레이션이며 실질 금리가 인플레이션을 반영합니다. 인플레이션율을 비교하려면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요인을 살펴봐야 합니다.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세 가지 요인)
물가와 인플레이션은 소비자물가지수(CPI), 생산자물가, 고용지수의 세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식품 및 에너지 가격이 제외된 핵심 CPI를 살펴보기보다는 전체적인 소비자물가지수를 살펴봅니다. 물가 상승은 인플레이션 상승을 의미하므로 테일러는 종합적인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1년(또는 분기별) 동안의 인플레이션율을 고려할 것을 권장합니다. 그리고 그는 실질 이자율이 인플레이션율의 1.5배가 되어야한다고 권장합니다. 이는 기대 인플레이션율에 대한 실질 인플레이션율을 고려한 균형 금리 가정을 기반으로 합니다. 테일러는 이를 약 2%의 이자율에 해당하는 2%의 정상 상태 균형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방정식의 일부일 뿐이고, 산출량도 고려해야 합니다. 인플레이션과 가격 수준을 제대로 측정하려면 다양한 가격 수준의 이동 평균을 적용하여 추세를 파악하고 변동을 완화합니다. 월별 이자율 차트에서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해야 합니다.
(총 경제 산출량 결정)
경제의 총 산출량은 생산성, 노동력, 고용변화에 의해 결정될 수 있습니다. 테일러 준칙을 계산할 때는 잠재 산출량 대비 실제 산출량을 살펴봅니다. 테일러 준칙은 실질 및 명목 GDP, 또는 테일러가 실제 및 추세 GDP라고 부르는 측면에서 GDP를 살펴봅니다. 이 계산에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모든 상품의 가격을 측정하는 GDP 디플레이터가 고려됩니다. 명목GDP를 실질GDP로 나눈 다음 이 수치에 100을 곱하면 됩니다.
(테일러 준칙과 자산버블)
일부 사람들은 2008년 주택모기지사태의 책임이 부분적으로 중앙은행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들은 닷컴 버블 이후 몇 년 동안 금리가 너무 낮게 유지되어 2008년 주택 시장 붕괴까지 이어졌다고 주장합니다. 이것이 자산버블의 원인이므로 결국 인플레이션과 생산량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자산버블의 또 다른 문제는 통화 공급 수준이 인플레이션과 생산량 불균형으로 고통받는 경제의 균형을 맞추는데 필요한 것보다 훨씬 더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이 시기에 중앙은행이 이자율을 훨씬 더 높여야 한다는 테일러 준칙을 따랐다면 주택 구매에 대한 인센티브를 받는 사람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거품이 더 작았을 수 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렌 버핏은 왜 1980년대 후반 코카콜라에 투자했을까? (1) | 2023.05.14 |
---|---|
경제적 가치란 무엇인가 (정의, 예시, 추정 방법) (2) | 2023.05.08 |
투자자를 위한 10가지 시대를 초월한 규칙 (2) | 2023.05.03 |
주식시장이란 무엇인가 (0) | 2023.05.01 |
경제란 무엇인가 (0) | 2023.04.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