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경제적 가치란 무엇일까? 경제적 가치는 재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편익을 기준으로 사람들이 재화에 부여하는 가치입니다. 경제적 가치는 일반적으로 화폐 단위로 측정되는 재화에 대한 개인의 지불의사를 바탕으로 추정됩니다. 다만, 경제적 가치를 특정 개인이 상품에 부여하는 가치보다 높거나 낮을 수 있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시장 가격인 시장 가치와 혼동해서는 안됩니다.
즉, 경제적 가치는 재화나 서비스를 통해 얻는 이익에 따라 사람이 부여하는 가치입니다. 경제적 가치는 주관적이며 측정하기 어렵지만 이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생산자는 이러한 경제적 가치의 추정치를 이용하여 브랜드 이름과 같은 유형 및 무형요소를 판단하고 제품 가격을 책정합니다.
(경제적 가치의 이해)
특정 개인의 선호도에 따라 재화나 서비스의 경제적 가치와 이를 얻기 위해 기꺼이 감수할 수 있는 트레이드오프("trade-off : 완전 고용과 물가 안정의 관계로서 실업률을 줄이면 물가가 상승하고, 물가를 안정시키면 실업률이 높아진다는 모순적 관계를 말합니다.")가 결정됩니다.
예를들면, 어떤 사람이 망고를 가지고 있다면 그 망고의 경제적 가치는 그 망고를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익입니다. 망고를 먹을의향이 있는 경우 경제적 가치는 망고를 먹음으로써 기대하는 즐거움과 영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망고의 경제적 가치는 망고의 객관적인 품질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망고를 평가하는 사람의 주관적인 의도와 망고와의 관계에 따라 전적으로 달라집니다. 망고의 품질이 망고의 용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망고의 경제적 가치는 그 특정 품질을 자신의 용도에 얼마나 적합한지에 대한 개인의 기대입니다.
(소비재의 경제적 가치)
경제적 가치는 주관적이고 사람의 의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직접 측정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경제적 가치를 정량화하거나 추정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고안되었습니다.
(지불의향)
경제학자들이 사람들이 경제적 재화를 얼마나 가치 있게 여기는지 추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고전적인 방법은 사람들이 지불하는 가격을 살펴보는 것 입니다. 개인은 재화를 구매할 때 그 대가로 일정 금액의 돈을 포기합니다. 사람들은 자신이 받는 재화와 포기하는 돈을 모두 자신의 주관적이고 의도된 용도(재화 또는 돈)에 따라 가치 있게 여기기 때문에, 재화를 구매하기로 선택하면 그 금액보다 재화에 더 높은 경제적 가치를 부여할 것이 분명합니다. 따라서 사람이 재화에 대해 지불하는 가격은 해당 재화의 경제적 가치를 정량화하는 한 가지 방법을 제공합니다.
(헤도닉 가격 책정)
헤도닉 가격 책정은 상품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는 또 다른 방법입니다. 헤도닉 가격 책정은 통계적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과거 거래를 기반으로 사람들이 상품의 다양한 특정 속성에 부여하는 경제적 가치를 추정합니다. 재화의 이러한 속성 또는 특성은 재화가 개인의 의도된 용도에 얼마나 적합한지를 결정하기 때문에 재화의 경제적 가치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경제학자들은 과거 거래에서 유사 상품의 속성이 유사 상품의 가격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통계 모델을 만들고, 이를 사용하여 특정 상품의 속성을 기반으로 해당 상품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마케팅의 경제적 가치)
기업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격을 책정할 때 고객에 대한 경제적 가치(EVC)를 사용합니다. EVC는 정확한 수학 공식에서 도출된 것은 아니지만, 제품의 유형 및 무형 가치를 고려합니다. 유형가치는 제품의 기능에 기반하고 무형가치는 제품 소유에 대한 소비자의 정서를 기반으로 합니다. 예를들면, 소비자는 운동할 때 발을 보호하고 지지해주는 튼튼한 운동화에 유형적 가치를 부여합니다. 그러나 운동화의 브랜드 라벨이나 유명인과의 제휴는 운동화에 무형의 가치를 더할 수 있습니다. 마케터는 설문조사, 포커스 그룹 또는 기타 도구를 사용하여 운동화의 특성에 따라 소비자가 운동화에 얼마나 많은 가치를 부여할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렌 버핏은 왜 1980년대 후반 코카콜라에 투자했을까? (1) | 2023.05.14 |
---|---|
테일러 준칙 - 통화 정책을 위한 경제모델 (0) | 2023.05.07 |
투자자를 위한 10가지 시대를 초월한 규칙 (2) | 2023.05.03 |
주식시장이란 무엇인가 (0) | 2023.05.01 |
경제란 무엇인가 (0) | 2023.04.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