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프리하마입니다. 이사준비를 하면서 정말 준비할 것도 많고 신경 쓸 것도 많아 힘들고 기술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보통 많은 분들이 전문 포장이사업체를 계약하여 이사를 하시는 것 같습니다. 최근 날씨도 매우 추워졌는데요. 보통 방문자님들은 이사를 할 때 언제 많이 하시나요? 보통 이사를 가을이나 봄 날씨가 정말 좋을 때 많이들 가실 거예요. 그리고 가장 걱정되는 것이 내가 정말 좋은 이사업체를 고른 것이 맞나? 가격은? 등 여러 가지 체크해야 할 사항들이 많은데요 최근 제가 이사준비를 하면서 경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저의 경험과 정보를 공유해 볼까 합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이사당일에 번거로운 일이나 갑작스러운 돌발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 보통 한 달전 2주일 전 1주일 전 하루이틀 전으로 계획을 많이 세우실 텐데요. 이 경우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관리하면 조금 더 효율적으로 이사를 준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사업체 선정 시 가격, 업체규모, 서비스 만족도, 추가 요금 발생 유무, 보증보험가입 등 선정 시 중요하게 따져봐야 할 내용이 참 많은데요. 대부분 25평 34평 기준으로 이삿짐이 비슷하기에
포장이사 기준 아파트 이사를 진행할 때 5톤 트럭에 작업 인원 4~5명(남자 3-4, 여자 1) 130만 원~180만 원 정도의 이사 비용이 발생하는데 업체 및 시기에 따라 적게는 10만 원 많게는 60만 원 정도 차이가 납니다.
저희의 경우 출발지가 빌라 4층으로 사다리차 필요, 도착지가 아파트 18층 승강기이용 조건이었습니다
방문견적을 받은 업체의 경우
* A업체 : 1,680,000원 VAT별도
- (포장이사비용 1,500,000원 / 사다리비용 180,000원 / 작업인원 : 남 4여 1 / 이사물량 : 6톤)
* B업체 : 1,500,000원 VAT별도
- (작업인원 : 남 3여 1 / 이사물량 : 5톤, 1톤)
* C업체 : 1,780,000원 VAT별도
- (포장이사비용 1,600,000원 / 사다리비용 180,000원 / 작업인원 : 남 4여 1 / 이사물량 : 6톤)
비용 부분도 중요하지만 방문견적 시 꼼꼼함과 친절함, 후기, 업체규모 등을 고려하여 저희의 경우에는 C업체를 선택하였습니다
(체크사항)
(기본적인 사항)
이사업체를 선정하는 요소 중 아래 내용에 따라 비용이 많이 달라지게 되는데요. 적어도 3군데 업체를 비교 견적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저희는 [영구이사, KcB, 삼성한솔익스프레스, 보보익스프레스 등] 견적을 요청하여 모두 방문견적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기타 사항의 경우 실질적으로 업체에 꼬치꼬치 캐물을 수는 없으나 기본적으로 이러한 부분은 체크해 보거나 봐두면 좋을 것 같은 사항들을 적어보았습니다. 그리고 이사일이 사람이 하는 일이고 개인적인 물건과 오랫동안 정든 물건들을 옮기는 일이다 보니 이사당일날 물건을 다루는 부분이나 친절함 등도 살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최근 업체들은 바닥보호를 위한 자재나 덧신착용, 이중포장, 마무리 청소, 공기정화 등 배려를 위한 경쟁이 치열합니다.
(비용 관련 체크사항)
1. 필요 작업자 수
2. 차량 크기 (이삿짐 양)
3. 사다리차 이용 여부
4. 이사 거리
5. 이사할 집 평수
6. 이사날짜(손 없는 날, 금요일, 공휴일 등 경우 비쌀 경우가 많음)
- 저희 집의 경우 토요일에 이사날짜를 잡았는데 평일과 차이가 없다고 하여 토요일로 정하게 되었습니다.
(기타 사항)
- 방문견적(무료) 보는지 여부 : 이사당일 짐이 많다고 추가비용을 요구하는 업체도 있기 때문에 꼼꼼하게 방문 견적을 하는지 확인하기
- 계약서 꼼꼼히 체크 (계약금, 잔금비율 / 방문견적 체크사항 / 날짜확인 / 특약사항 / 물품손상, 분실 시 보상규정 등)
- 외국인 노동자 및 인력 수(나이, 성별 등) 팀 구성 인원
- 취급주의품목 미리 이사업체에 전달하기
(한 달 전 체크사항)
- 이사업체 예약 : 이사가 많은 시기에는 본인 원하는 날짜에 이사를 가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한 달 전에 미리 이사업체 예약을 하여야 합니다. 그래야 업체 내에 우수한 이사팀이 먼저 선점한 날짜에 일을 할 수도 있고 날짜에 쫓기지 않고 여러 업체를 비교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2주일 전 체크사항)
보통 1주일 전이나 2~3일 전에도 할 수 있는 부분들이지만 미리 큰 짐이나 굵직한 일을 미리 2주일 전에 마무리를 하게 되면 1주일 전이나 2~3일 전에는 더 세밀한 부분을 관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정리나 버릴 물건들은 미리 당근이나 중고나라, 주변 이웃들에게 나눔 하거나 중고로 팔아 이사 시 최대한 정리해 놓으면 좋습니다.
- 불필요한 가구/가전 폐기물 스티커 구입
- 물건 이동 시 손상가능성(찍힘, 긁힘 등) 있는 물건들 체크하여 사진 찍어놓기
- 아이가 있을 경우 (전학통보)
- 이사할 집 배치도 구상
(1주일 전 체크사항)
- 우편물 배달 및 이전 신고
- 인터넷 이전신청, 유선방송이전 및 중지
- 은행 및 신용카드 등 주소 변경
- 기타 배달(신문, 우유 등) 중지 및 변경
- 엘리베이터 예약(신축 아파트의 경우 미리 엘레베이터 예약기간을 알려줌)
(2~4일 전 체크사항)
- 냉장고 음식물처리
- 이사할 집 청소, 파손여부 확인 (신축아파트의 경우 사전점검, 입주청소)
- 이사당일 사용할 물건만 별도 포장하기
- 도시가스 (가스레인지분리 / 설치예약)
- 가전제품 A/S 센터연락 (전자제품 분리)
(이사 전날 체크사항)
- 냉장고, 세탁기 물 빼기
- 고가 귀중품 별도 보관 및 위험물 처리
- 개인 정보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통장, 인감도장 등) 관련 물품 별도 보관
- 입주 아파트 입주증 발급
- 쓰레기봉투 준비 (출발 시 포장 후 쓰레기 정리, 100L 1~2장)
- 청소할 걸레 준비 (5~10장)
- 세입자 및 집수리 등이 있을 경우 현관 비번 변경
(이사 당일 체크사항)
(출발지)
- 이웃에게 작별인사? / 신변용품 재점검
- 집 안팎의 청소와 점검
- 짐 운반 시 입화 (이삿짐 확인)
- 가스, 전기, 수도요금 점검 및 정산
- 마개, 스위치 확인
- 아파트 관리비 지불 등
(도착지)
- 쓰레기봉투 준비 (도착지 정리 후 쓰레기정리, 100L 1~2장)
- 이삿짐 확인 및 정리 정돈 마무리 확인
- 이사요금 정산
- 전기, 가스, 수도점검 (정수기 설치), 사용량 확인 (전 주인)
- 전화개통
- 전학수속, 전입수속 (이사 후 14일 이내 신고) 및 임대차계약서 확정일자
- 이웃 인사
(이사 후 체크사항)
- 자동차등록 변경신고와 차량 주소 이전 등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RP 개인형 퇴직연금이란 (DB형, DC형, IRP형) (2) | 2024.01.24 |
---|---|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 선택 및 차이 (0) | 2023.10.13 |
신규아파트 준공 전 사전점검 사진촬영요령, 준비물, 체크사항 (2) | 2023.09.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