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플라자 합의는 1985-09-22에 미국, 영국, 일본, 독일(서독), 프랑스 재무장관들이 뉴욕 맨해튼 센트럴파크 플라자 호텔(1907년 준공)에서 합의한 것으로 미국달러 가치를 하락시켜 다른 화폐의 가치를 평가 절상한 환율 조정합의입니다.
1980년대 초 일본은 매우 높은 기술력으로 미국 등에 전자제품(소니 워크맨 등)을 수출하여 대단한 성과를 이루고 엔화 약세로 막대한 무역흑자를 기록합니다. 이에 따라 경상수지적자로 힘들었던 미국은 플라자합의를 통해 엔 달러환율을 조정(ex. 엔화를 200엔/달러에서 100엔/달러로 가치를 높이게 되면 미국시장에서 일본상품은 비싸지므로)으로 하여 일본의 수출경쟁력을 낮추게 됩니다.
미국은 이 당시 경제적, 문화적으로 점차 미국을 따라잡으려는 일본을 저지하는 데 성공했단 평가를 받습니다. 일본은 엔고, 부동산 거품 등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입고 그 여파가 20년간 이어지는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이 되어 플라자합의는 미국의 대일 경제원폭 투하로도 불립니다.
(배경)
1971년 미국 대통령 닉슨의 금본위제도 폐지에 대한 선언은 전 세계적으로 물가와 원유 가격을 급격히 상승시켰습니다. 미국 달러화의 가치는 하락했고 스태그플레이션(경기가 부진한 상황에서 물가가 계속적으로 오르는 상황)은 1970년대에 시작되었습니다. 1979년 08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으로 취임한 폴 볼커는 스태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대폭 인상하였습니다.
금리인상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서구로부터 돈을 빌려온 이집트, 소말리아, 페루, 브라질, 아르헨티나를 포함한 많은 국가들이 외채가 많아지므로 인해(달러가 미국으로 회수되며 이자율 상승) 국가 파산의 길로 들어섰습니다. 한국은 또한 외채가 너무 커서 당시 세계 최고 수준이었기 때문에 거의 파산 직전까지 갈 뻔했습니다.
(합의에 따른 영향)
이후에 플라자 합의가 채택되고, 독일 마르크스는 7%, 엔화는 8.3% 상승했고, 달러는 향후 2년 동안 30% 이상 하락했습니다. 달러화의 약세는 미국 제조업자들의 가격 경쟁력을 회복시키고 미국과 유럽 간의 무역적자를 감소시켰습니다. 다만, 엔화에 대한 달러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일본에 대한 미국의 적자는 크게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일본의 시장 개방이 제한적이었고, 일본의 소비경향이 폐쇄적이었기 때문입니다.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까지, 특히 빌 클린턴 행정부 동안, 미국은 종종 일본이 시장을 개방할 것을 요구한 적이 많았습니다.
반면, 한국은 1986년부터 1989년까지 플라자 합의로부터 이익을 얻었는데, 그 이유는 일본과 많은 수출경쟁 상품들이 있었는데 엔화가치의 상승으로 상대적으로 원화가치가 싸졌기 때문입니다. 시기적으로 1988년 서울 올림픽으로 인한 투자확대, 유가하락, 금리인하 등이 종합되었고 한국은 사상 처음으로 경상수지 흑자를 기록하면서 한국 상품의 저력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합의는 또한 1980년대 일본 거품경제의 원인들 중 하나입니다. 경제부양책으로 내놓은 금리 인하 및 부동산 대출규제 완화로 엄청난 거품이 생긴 것입니다. 물론 이러한 거품으로 미국과의 경제력 격차를 좁혔고 미국기업과 자산을 사들이며 미국에 두려움을 주었지만 결국 플라자 합의는 일본에게 경제적으로 부담을 안겨주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정리)
결국 플라자합의는 미국이 경제적, 문화적 위상을 위협하던 일본에 중대한 피해를 입힌 협정입니다. 일본이나 독일은 미국과의 무역전쟁을 두려워했기 때문에 일본은 미국에 유리한 일방적인 협정임에도 불구하고 플라자합의를 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죠..
한국과 같은 신흥 경제국들이 이 기간 동안 많은 이익을 얻었다는 견해가 많습니다. 그리고 당시 일본은 경기부양을 위해 미쓰비시 그룹이 록펠러 센터를 인수하고 1989년 소니가 컬럼비아 픽처스를 인수하는 등 무분별하게 자산을 매입하다 결국 장기불황으로 치닫게 되었지만... 그 당시 버블 엔화로 무분별하게 사들인 외국계 자산을 기준으로 한 경상수지 흑자는 2019년 원화로 따지면 연간 229조 원에 달했다고 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일러 준칙 - 통화 정책을 위한 경제모델 (0) | 2023.05.07 |
---|---|
투자자를 위한 10가지 시대를 초월한 규칙 (2) | 2023.05.03 |
주식시장이란 무엇인가 (0) | 2023.05.01 |
경제란 무엇인가 (0) | 2023.04.30 |
인플레이션, 화폐구매력과 그 변화 (0) | 2023.04.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