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란 무엇인가)
경제는 상호 연관된 생산, 소비, 교환 활동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시스템입니다. 궁극적으로 모든 참여자에게 자원이 할당되는 방식을 결정합니다.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 소비, 유통은 경제 내에서 생활하고 활동하는 사람들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결합됩니다. 경제는 국가, 지역, 단일 산업 또는 가족 등을 대표할 수도 있습니다.
<주요 내용>
경제는 궁극적으로 한 집단 내에서 자원의 배분을 결정하는 상호 관련된 생산 및 소비 활동의 시스템입니다.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과 소비는 전체적으로 그 안에서 생활하고 활동하는 사람들의 필요를 충족시킵니다.
자유시장경제라고도 불리는 시장기반경제는 자율 규제를 통해 소비자의 수요에 따라 상품을 생산하고 유통할 수 있습니다.
명령기반경제는 생산되는 상품, 수량 및 지불 가격을 결정하는 정부기관의 규제를 받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온전한 시장 기반 또는 명령 기반 경제는 거의 없습니다.
(경제 이해하기)
경제는 국가든지 작은 집단이든지 상관없이 한 단체의 상품, 서비스의 생산, 소비, 무역과 관련된 모든 것을 포함합니다. 똑같은 경제는 없습니다. 각 경제는 고유한 자원, 문화, 법률, 역사, 지리에 따라 형성되는 것입니다. 각각의 경제는 참여자의 선택과 행동에 따라 결정되고 진화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결정은 시장 거래와 집단적 또는 계층적 의사 결정의 조합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시장 기반 경제)
시장기반 또는 '자유 시장' 경제에서는 사람과 기업이 수요와 공급에 따라 상품과 서비스를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습니다. 미국은 대부분이 시장 경제입니다. 생산자는 무엇을 판매하고 생산할지, 어떤 가격으로 책정할지를 결정합니다. 생산자는 성공을 기대한다면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여 생산하고 소비자가 기꺼이 지불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가격을 책정할 것입니다. 이러한 결정을 통해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라 가격과 총생산량이 결정됩니다. 특정 제품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증가하면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생산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수요가 증가하는 동안 소비자가 구매를 주저하고 줄일 때까지 가격은 상승합니다. 그러다가 높은 가격으로 인해 해당 제품에 대한 수요가 줄고 가격도 함께 다시 하락합니다. 이러한 끊임없는 수요와 공급의 줄다리기를 통해 시장 경제는 자연스럽게 균형을 잡는 경향이 있습니다. 한 부문의 가격이 수요에 따라 상승하면 그 수요를 채우는데 필요한 돈과 노동력이 필요한 곳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명령 기반 경제)
명령 기반 경제는 생산수준, 가격책정, 상품유통 등을 통제하는 중앙 정부에 의존하게 됩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정부가 소비자를 대신하여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산업을 소유하게 됩니다. 기업 간의 경쟁은 억제되거나 금지되고, 가격이 통제됩니다. 공산주의는 명령에 기반한 경제를 필요로 합니다.
(혼합 경제)
현대 사회에서는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의 정부 개입이나 중앙 계획이 있기 때문에 순수한 시장 경제는 거의 존재하지 않습니다. 정부는 생산을 강제하지는 않지만 생산에 영향을 미칠 수가 있습니다. 예를들면 금리 인상을 한다던가 비축유를 늘린다던가 통화량을 늘린다 등이 해당됩니다. 대부분의 선진국은 혼합 경제 모델을 하고 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일러 준칙 - 통화 정책을 위한 경제모델 (0) | 2023.05.07 |
---|---|
투자자를 위한 10가지 시대를 초월한 규칙 (2) | 2023.05.03 |
주식시장이란 무엇인가 (0) | 2023.05.01 |
인플레이션, 화폐구매력과 그 변화 (0) | 2023.04.29 |
플라자 합의 (일본의 장기침체의 이유는 무엇일까) (0) | 2023.04.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