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2 테일러 준칙 - 통화 정책을 위한 경제모델 (개요) 테일러 준칙은 1992년 저명한 경제학자 존 테일러가 고안한 금리 예측 모델로, 1993년 "재량 대 정책 규칙의 실제 적용(Discretion Versus Policy Rules in Practice)"이라는 논문에서 설명했습니다. 이 모델은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과 기타 경제 상황을 고려하여 금리를 어떻게 변경해야 하는지를 제시합니다. 테일러 준칙은 인플레이션이 목표치를 초과하거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너무 높고 잠재성장률보다 높을 때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고 제안합니다. 또한 인플레이션이 목표 수준보다 낮거나 GDP 성장률이 너무 느리고 잠재성장률보다 낮을 때 연준이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테일러는 1990년대초 거시경제학의 합리적 기대 이론에 따라.. 2023. 5. 7. 인플레이션, 화폐구매력과 그 변화 (개요) '인플레이션'이란 물가 상승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구매력이 감소하는 것을 말합니다. 구매력 하락은 일정기간 동안 상품 및 서비스의 평균 가격 상승률에 반영될 수 있습니다. 백분율로 표시될 경우 가격 상승은 한 단위의 통화가 이전보다 더 적은 금액을 구매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하락하고 구매력이 상승하는 디플레이션과 대비될 수 있습니다. (핵심사항) ● 인플레이션은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상승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 인플레이션은 수요에 의한 인플레이션, 비용에 의한 인플레이션, 내장된 인플레이션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플레이션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와 도매 물가지수입니다. ● 인플레이션은 개인의 관점과 변화율에 따라 긍정적으로 또.. 2023. 4. 29. 이전 1 다음 반응형